गाने
[진양조]
배의 밤이 몇 밤이나 되며, 물의 날이 몇 날이나 되던고? 무정한 사오삭이 물과 같이 흘러가니, 금풍삽이석기허고 옥우곽이쟁영이라. 낙하는 여고목제비허고 추수공장천일색이라. 강안에 귤농 황금이 천편, 노화가 풍기허니 백설이 만점이라. 심포세류 지는 잎은 만강추풍 흩날리고, 옥로청풍 불었난디, 외로울사 어선들은 등불을 돋오켜고 어가로 화답을 허니, 돋우나니 수심이요, 해반청산은 봉봉이 칼날 되어 보이난 것 간장이라. 일락장사추색원허니, 부지하처조상군고? 송옥의 비추부가 이어서 슬프리오? 동녀를 실었으니 진시황의 채약밴가? 방사는 없었으나 한무제의 구선인가? “지레 내가 죽자허니 선인들이 수직 허고, 살아 실려 가자허니 고국이 창망이로구나.”
[엇머리]
한 곳 당도허니 이난 곧 인당수라. 어룡이 싸우난 듯, 벽력이 나리난 듯, 대양 바다 한가운데 바람 불고 물결쳐 안개 뒤섞여 저저진 날, 갈 길은 천 리 만 리나 남고, 사면이 검어 어둑 저물어져 천지 적막헌디, 까치뉘 떠들어와 뱃전머리 탕탕, 물결이 와르르르르르 출렁출렁. 도사공 영좌 이하 황황급급허여 고사기계를 차린다. 섬쌀로 밥 짓고, 온 소 잡고, 동우 술, 오색 탕수, 삼색 실과를 방위 찾아서 갈라놓고, 산 돝 잡아 큰 칼 꽃아 기난 듯이 받쳐놓고, 도사공 거동 봐라. 의관을 정제허고, 북채를 양 손에 들고.
[자진모리]
북을 두리둥 두리둥 두리둥 두리둥 둥 둥 둥 둥 둥. “헌원씨 배를 무어 이제불통 헌 연후에, 후생이 본을 받어 다 각기 위업을 허니 막대한 공 이 아니냐? 하후씨 구년 치수 배를 타고 다사릴 제, 오복의 공수 구주로 돌아들고, 오자서 분오할 제 노가로 건네주고, 해성의 패한 장수 오강으로 돌아들어 우선대기 건네주고, 공맹의 탈조화는 동남풍 빌어내어 조조의 백만 대병 주유로 화공허니, 배 아니면 어이허리?” 그저 북을 두리둥 두리둥 두리둥 둥 둥 둥 둥 둥. “주요요이경양허니 도연명의 귀거래, 해활하니 고범주난 장한의 강동거요, 임술지추칠월으 소동파 놀아 있고, 지국총총 어부사허니 고예승류무정거난 어부의 질검, 계도란예화정표난 오희월녀채련주요, 타고 발선허고 보니 상고선이 이 아니냐? 우리 선인 스물네 명 상고를 위업허여 경세우경년으 표박서남을 다닐 적으, 오늘날 인당수 인제수를 드리오니, 동해신 안명이며, 서해신 거승이며, 북해신 흑룡이며, 남해신 축융이며, 강한지장과 천택지군이 하감하여 보옵소서. 비렴으로 바람을 주고, 화락으로 인도허여 환난 없이 도우시고, 백천만금 퇴를 내어 돛대 위에 봉기 꽂고, 봉기 위에 연화 받게 점지하여 주옵소서. 고시레!” 고사를 다 지낸 후어, “심낭자 물에 들라!” 성화같이 재촉허니, 심청이 죽으란 말을 듣더니마는, “여보시오, 선인님네, 도화동이 어디쯤이나 있소?” 도사공이 나서더니 손을 들어서 가리키난디, “도화동이 저기 운애만 자욱헌 디가 도화동이여.” 심청이 기가 막혀 분향사배 우는구나. “아이고, 아버지! 불효여식 청이는 추호도 생각 마옵시고, 어서어서 눈을 떠서 대명천지 다시 보옵시고, 좋은 계모 맞아들여 칠십생남 하옵소서. 여보시오, 선인님네, 억십만금 퇴를 내어 본국으로 가시거든 우리 부친을 위로하여 주옵소서.” “글랑은 염려 말고, 어서 급히 물에 들라!”
[휘모리]
심청이 거동 봐라. 샛별 같은 눈을 감고, 초마 자락 무릅쓰고 뱃전으로 우루루루루루. 만경창파 갈매기 격으로 떴다 물에가 ‘풍!’
[진양조]
빠져노니, 해당은 풍랑을 좇고, 명월은 해문에 잠겼도다. 영좌도 울고, 사공도 울고, 역군 화장이 모두 운다. “장사도 좋거니와 우리가 연년이 사람을 사다가 이 물에다 넣고 가니, 여~~~! 우리 후사가 좋을 리가 있것느냐? 닻 감어라. 어기야 어기야. 우후청강 좋은 흥을, 묻노라 저 백구야. 홍요월색이 어느 곳고? 일강세우노평생에 너는 어이 한가허드냐?” 범피창파 높이 떠서 도용도용 떠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