में प्रस्तुत

क्रेडिट्स

PERFORMING ARTISTS
Yoon Jin Chul
Yoon Jin Chul
Vocals

गाने

[진양조]
바람은 우루루루루루 쐐 지동 치듯 불고 궂인 비는 퍼붓난디, 갑옷 젖고 기계 잃고 어디로 가잔 말이냐? 조 조 군사 굶었으되, 행중으 양식 없어 말도 잡어 군사를 구급허고, 젖은 옷 쇄풍허며 한곳을 바라보니, 한수 여울 내린 물은 이릉으로 닿었난디, 적적산곡 청계 상으 쌍쌍 백구는 흘리 떴다. “우후청강 좋은 흥이, 묻노라, 저 백구야, 홍요월색이 어느곳고? 어적수성이 적막헌디, 뉘 기약을 기다리고 범피창파 흘리 떠 오락가락 승유허고, 나는 어이 무삼 죄로 천리 전장으 나왔다가 만군진을 몰살을 허고, 풍파여상 곤한 신세 반생반사 고양난이로구나.”
[아니리]
이러고 자탄 끝에 또 대소허니, 정 욱이 어이없어 군사다려 이르기를, “우리 모두 다 죽는다. 정신들 차려라. 승상님이 웃으셨다.” 조 조 얕은 속에 화를 내어, “고얀 놈들, 내가 웃으면 복병이 꼭 난단 말이냐? 내 우리 집에 있을 때 아무리 웃어도 복병커녕 뱃병도 안 나더라.”
[잦은몰이]
말이 맟지 못하야 호초 함성이 천지가 뒤덮는다. 정 욱이 혼이 없어, “여보시오, 승상님. 어서 한없이 웃음이나 웃으시오. 죽어도 원이나 없게 어서 웃으시오.” 조 조 묻는 말이, “오는 장수 거 뉘기냐?”, “무서운 장 비요.” 조 조 웃음 간데없고 두 눈이 휘둥그러지며 방황헐 제, 표독한 저 기상에, 낯빛은 검푸르고, 고리눈, 따박수염, 사모장창 비껴들고, 불꽃 같은 급헌 성정, 맹호같이 쑥 나서며, “네 이놈, 조 조야, 내 장창 받어라. 팔랑개비라 비상천허며 두더쥐라 땅을 뒬까.” 우레 같은 큰 소리 벽력같이 뒤지르니, 나는 새도 떨어지고 길짐생도 못 닫는다. 조 조 정신 없어, “여봐라, 정 욱아. 내 갑옷 입고 여기 잠깐만 서 있거라. 나 똥 좀 누고 오마.”, “그런 얕은 꾀 쓰지 마오.” 조 조, 정신 혼미하야 갑옷 벗어 후리치고, 군사와 한데 섞어 자빠지며 엎더지며 화룡도로 도망을 허는구나.
[잦은 진양조]
이때 인마 기진허고, 대인노약 막대 짚고, 눈비 섞어 오는 날으 산고곡심 험한 길으, 휘여진 장송 뒤얼크러진 총림 휘청휘청 검쳐 잡고, “후유, 촉도지난이 험타 헌들 이에서 더할소냐?” 허 저, 장 요, 서 황 등은 후군을 방어허고, 정 욱이 눈물지며 탄식허여 우는 말이, “평생소약 진심허여 운주결승허잤더니 제부종시불여의라, 초행노숙 어인 일고? 망측한 우리 승상, 일빈일소 탓이로다.” 애고 애고 울고 나니, 전별장이 울고 난다. “적벽 오전 무삼 일고? 승상은 망상허여, 주색 보면 한사허고, 임진하면 꾀병터니, 삼부 육사 간데없고 백만 군사 몰살을 허니, 모사도 허사 되고 장수 또한 공수로구나. 전복병에 놀랜 군사 후복병이 다시 나면 이를 어쩔거나? 아이고, 아이고, 내 일이야.” (아니리)
이렇듯 울고 나니.
[중머리]
화병이 울고 난다. “수인씨 교인화식, 나 혼자 맡었을까? 녹록허다 이 내 신세, 취관화기 걸머지고 뭇 군사 밥 짓기와, 양식마자 떨어지고 호로 한 박뿐이로다. 표자나 꿰여차고 우리 집을 가고지고.” 애고, 애고, 울고 나니 범군이 울고 난다. “환도는 집만 남고 군복조차 불에 타지고, 적수공권 외상투으 절룩절룩 이 내 다리로 위국 고향을 어이 가리? 다만 내 몸에 남은 것은 가죽 방망이 밖으 또 있느냐?”
[아니리]
애고, 애고, 통곡허니, 조 조 듣고 화를 내여, “사생이 유명커든 울기는 왜 우느냐? 다시 우는 자는 군법으로 참하리라.” 이렇듯 분부허고, 초원산곡 아득헌디 두세 번 머물러 낙후패를 영가헐 제, 앞에 군사 전포허되, “지나간 말 발자국과 패인 통노구 자리 훈기가 있사오니 복병 의심 있나이다.” 조 조 듣고 대답허되, “이곳이 명산이라 산제 신공 드리는 자리라. 걱정 말고 어서 가자.” 일행을 재촉하야 한곳에 다다르니, 적적 산중 송림간의 소리 없는 키 큰 장수 취안을 찡그리고 은은히 서 있거날, 조 조 깜짝 놀래, “여봐라, 정 욱아. 날 보고 우뚝 섰는 장수, 예 보던 얼굴 같다. 만일 관공이면 내 어이 살아가리. 자세히 살펴보아라.” 제장이 여짜오되, “그게 장승이요.” 조 조 더욱 놀래여, “아니, 장 비네 한 장수란 말이냐?”, “아니요. 그 화룡 십리 목장승을 보시고 그다지 놀래시오?” 조 조 그제야 숨을 내쉬며, “후유. 허, 풍운건곤 나 속일 리가 없더니마는, 요망한 장승놈이 나를 속여 놀랬단 말이냐? 네 장승놈 잡어들여라!” 좌우 군병 소리치고, “장승 뽑아 잡아들였소!” 정 욱 시켜 분부허되, “네 비록 목신으로 승상의 혼 경동케 허였으니 군법으로 참하리라.” 호령허고 조 조 겁심 풀 양으로, “네 여봐라, 술 한 잔 가져오너라.” 술 한 잔 먹고 취하여 잠깐 조으난디, 비몽사몽간에 장승 혼령이 현몽을 허겄다.
[중중머리]
“천지만물 생겨날 제, 각색 초목이 먼저 나 유소씨 식목실 구목위소를 허여 있고, 헌원씨는 작주거이제불통허였으니 그 나무 편타 허며, 석상으 오동목은 오현금 복판이 되어 대순 슬상 비껴 안고 남풍시를 지어내어 스리렁 둥덩 울려 노니 봉황도 춤을 추고, 문왕 때 감당목은 비파성을 띠어 있고, 진황제 오후목과 시상촌 오류목은 춘홍이 그지없네. 고루거각 동량목은 용성화채가 찬란허여 반공으 솟아 있고, 사후영귀 관판목은 백골 신체를 안장허고, 신발실당허올 적으 제율목은 신주가 되어, 사시절 귀부인이 만반설위를 허고 분향 헌작 독축헐 제, 그로 좋다 허거니와, 이 내 일신 어이허여 상중하품 벗어나서 하산작량이 몇 해련고? 궁궐 동량은 못 될망정, 차라리 내 다 떨치고 대광판이나 바랬더니, 무죄한 몹쓸 놈들이 이 내 몸을 작벌하야, 가지 찢어 방천말과, 마판, 구수, 작두바탕, 소용대로 다한 후으, 남은 동은 목수 보여 어느 귀신의 얼골인지, 주먹코, 방울눈, 주토칠, 팔자 없는 사모, 품대, 화룡 십오리 장승이라 복판에 이름 새겨 대도 상으 세워 노니, 입이 있어 말을 허며, 손이 있어 빌어 보며, 발이 있어 도망허며, 눈이 있은들 볼 수가 있소? 불피풍우허고 우두머니서서 진퇴유곡허는 나를 승상은 모르시고 그다지 놀래시니, 기군찬역 아닌 나를 구로 행형 하랴시니 목신으게 무삼 죄요? 물구즉신이오니, 심량 처분하옵심을 천만천만 바래내다.”
instagramSharePathic_arrow_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