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jlepší skladby od interpreta 토리스
Kredity
PERFORMING ARTISTS
토리스
Performer
COMPOSITION & LYRICS
Hyunho BAIK
Arranger
Texty
그 때여 주유는 일반 문무(文武) 장대상(將臺上)에 모여 앉아 군병 조발(調發) 예비(豫備) 할 제, 이날 간간근야(間間近夜)에 천색(天色)은 청명(晴明)하고 미풍(微風)이 부동(不動)커늘, (대사) 주유 노숙다려 물어 왈, “공명이 나를 속였다. 이 융동(隆冬) 때에 어찌 동남풍이 있을쏘냐?” 노숙이 대답하되, “제 생각에는 아니 속일 사람인 듯 하외이다.” “어찌 아니 속일 줄을 아느뇨?” “공명을 지내보니, 재주는 영웅이요, 사람은 또한 군자라, 그러한 군자 영웅이 이러한 대사에 거짓말로 남을 어찌 속이리까? 조금만 더 기다려 보사이다.”
말이 맞지 못하야 이날 밤 삼경시(三更時)에 바람이 차차 일어난다. 뜻밖에 광풍이 우루루루루루루루, 풍성(風聲)이 요란커늘, 주유 급히 장대상에 퉁퉁 내려 깃발을 바라보니, 청룡(靑龍) 주작(朱雀) 양 기각(兩旗脚)이 백호(白虎) 현무(玄武)를 응하여 서북으로 펄펄. 삽시간에 동남대풍(東南大風)이 불어 기각(旗脚)이 와지끈, 움죽, 깃폭판도 떼그르르르르르 천둥같이 일어나니, 주유가 이 모양을 보더니, 간담(肝膽)이 뚝 떨어지는지라. 공명을 지내보니, 재주는 영웅이요, 사람은 군자라. 죽이기는 아까우나, 그대로 살려 두어서는 장차 유환(遺患)이니, 명심불망(銘心不忘)하라.” 끈 떨어진 차일(遮日) 장막(帳幕) 동남풍에 펄렁펄렁. 기 잡은 군사들은 여기저기가 이만하고 서 있거늘, “이놈, 군사야.” “예.” “공명이 어디로 가더냐?” 저 군사 여짜오되, “바람을 얻은 후에 머리 풀고, 발 벗고, 이 너머로 가더이다.”
“하하하, 그러면 그렇지. 공명은 분명 이 산중에 있거늘. 하늘에서 떨어지고 땅에서 솟아나지 않을진데 지가 어디로 도망을 갈까?” “이놈, 수졸(水卒)아.” “예.” “공명이 어디로 가더냐?” “공명인지는 모르오나, 어제 해질 무렵 뜻밖에 어떤 사람이 머리 풀고, 발 벗은 채 황급히 강으로 내려와 사공과 둘이 소근소근, 고개를 까딱까딱, 입을 쫑긋쫑긋하더니, 그 배를 급히 잡어 타고 상류로 가더이다.” “옳다. 그것이 공명일다. 어서 바삐 배에 올라라~~~”
“이놈, 사공아.” “예.” “이 배를 빨리 저어 공명 탄 배를 잡아야망정, 만일 못 잡으면, 이내 장창(長槍)으로 드는 칼로 네 목을 뗑기렁 베어 이 물에 풍덩 드리치면, 네 백골을 뉘 찾으랴?” 사공들이 황겁(惶怯)하여, “여봐라, 친구들아! 우리가 까딱 잘못하다가는 오강(吳江)의 고기 밥이 되겄구나. 열두 친구야, 키따리 잡고 닻을 달고 노를 저어라 어기야 디여 어기야 어기야 디여 어야 엉 어기야 엉 어기야.” 자룡이 분을 참고 선미(船尾)에 우뚝 나서, “이놈, 서성, 정봉아. 상산 조자룡을 아는다, 모르는다? 가는 배 머무르고, 오는 배 바라보며 백 보(百步) 안에 가 드듯 마듯, 장궁(長弓) 철전(鐵箭)을 먹여,
비정비팔(非丁非八)하고 흉허복실(胸虛腹實)하여, 대투를 숙이고, 호무뼈 거들며, 주먹이 터지게 줌통을 꽉 쥐고(돌림노래처럼), 삼지(三脂)에 힘을 올려 궁현(弓弦)을 따르르르르르르르르르르르, 귀밑 아씩, 정기일발(正機一發) 깍지손을 딱 떼니, 번개같이 빠른 살이 해상(海上)으로 피르르르르르르. 서성 탄 배 덜컥, 돛대 와지끈 물에 가 풍! 오던 배 가로져 물결이 뒤채어, 소슬광풍(蕭瑟狂風)에 뱃머리 빙빙 빙빙빙빙 워리렁 출렁 뒤둥그러져 본국으로 떠나간다.
Written by: 백현호